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은 1960년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1973년 9월 6일 봉화역-붉은별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87년 4월 10일 부흥역-봉화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6년 1월 1일부터 신형 차량인 100형이 운행을 시작했다. 2019년 5월 1일에는 개선역의 리모델링이 완료되었고, 이후 전우역과 통일역의 리모델링도 완료되었다. 2024년 7월 - 8월에는 통일역이 모란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봉화역에서 붉은별역까지 총 6개의 역이 있으며, 만경대선과 직결 운행한다. 천리마선은 평양 시가지를 남북으로 종단하며, 역 이름은 혁명과 관련된 명칭으로 되어 있다. 차량기지는 붉은별역 북쪽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 지하철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은 1975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1978년 노선이 완성되었으나, 1995년 광명역이 폐쇄되었고, 2018년 광복역 서쪽 연장 공사, 2019년 개선역 리뉴얼, 그리고 현재 광복역 남서쪽 차량기지 위치 및 만경대 방면 노선 연장 계획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평양 지하철 - 평양 지하철도
평양 지하철도는 1965년에 건설되어 1969년부터 1972년 사이에 개통되었으며, 방공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깊게 건설되었고, 천리마선과 혁신선 두 개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무사시노선
무사시노선은 JR동일본과 JR화물이 운영하는 총 100.6km의 철도 노선으로, 도쿄 외곽 순환선을 목표로 건설되어 1973년 일부 개통 후 1978년 니시후나바시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는 게이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도쿄 도심 및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축 역할을 한다.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이세 철도 이세선
이세 철도 이세선은 미에현 욧카이치시 가와라다역과 쓰시 쓰역을 연결하는 22.3km 철도 노선으로, 원래 일본국유철도 이세선이었으나 경영 악화로 제3섹터 철도인 이세 철도로 이관되었으며, 간사이 본선 및 기세이 본선 직결 운행을 통해 특급 및 쾌속 열차가 운행되고 F1 일본 그랑프리 개최 시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 천리마선 - 승리역
승리역은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의 역으로, 김일성 광장, 인민대학습당 등 평양의 주요 시설과 가깝고 봉화역 방향으로 모란봉역이 인접해 있다. - 천리마선 - 봉화역 (평양)
봉화역은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과 만경대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철역으로, 주변에 여러 시설이 있으며 1971년 대동강 물 유입 사고가 있었던 곳이다.
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이름 | 천리마선 |
한자 표기 | 千里馬線 |
조선글 표기 | 천리마선 |
영어 표기 | Chollima Line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지하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운영 기관 | 평양 지하철 |
노선 정보 | |
![]() | |
기점 | 부흥역 (평양시 중구역) (만경대선과 공유) |
종점 | 붉은별역 (평양시 대성구역) |
역 수 | 8개 |
노선 길이 | 약 20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직류 825 V 제3궤조방식 |
신호 방식 | 자동 폐색 신호 |
차량 기지 | 소포 차량사업소 |
사용 차량 | BVG Class D, 지하전동차 1호 |
역사 | |
개통일 | 1973년 9월 6일 |
역 목록 | |
역 목록 | 부흥 영광역 봉화 승리 통일 개선역 전우역 붉은별역 |
기타 | |
특징 | 지하 200m 깊이에 위치 |
과거 역 이름 변경 | '통일' 역에서 '역' 삭제 |
2. 역사
평양 지하철도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개통한 지하철 노선이다. 1960년대에 건설을 시작하여, 1973년 9월 6일 봉화역 - 붉은별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3][14][15][16] 1987년 4월 10일에는 부흥역 - 봉화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3][14][15][16]
붉은별역 북쪽에 천리마선 차량기지가 있다.
평양 지하철도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개통한 지하철 노선이다. 정식 노선명은 천리마선(붉은별역 - 봉화역 간)과 만경대선(봉화역 - 부흥역 간)으로 나뉘지만, 두 노선 모두 일체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장래에는 혁신선 광복역 - 천리마선 부흥역 간에 신선을 건설한다는 구상이 있다.[14] 당초 계획에서는 봉화역에서 평양 시내를 흐르는 대동강 아래를 지나 남진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지만, 1971년에 봉화역 부근에서 발생한 터널 붕괴 사고(사망자 100명 초과)의 영향으로 단념되어, 현행의 서진하여 부흥역으로 향하는 경로가 되었다고 한다.[15][16] 대동강 터널 계획은 2000년에도 언급되었고, 이때는 동평양으로의 연장이 계획되었지만, 그 후의 진전은 없다.[16] 1980년대에는 평성시로의 연장 계획도 존재했지만, 시굴 결과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혀 단념했다고 한다.[16]
[1]
간행물
Front Cover
1973-12-01
1971년 봉화역 부근에서 터널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당초 봉화역에서 대동강 아래를 지나 남진하는 계획은 단념하고, 현재의 서진하여 부흥역으로 향하는 경로가 되었다.[15][16]
2016년 1월 1일에는 신형 차량 100형의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9년 5월 1일에는 개선역의 리모델링이 완료되었고, 이후 전우역과 통일역도 리모델링되었다. 2024년 7월 - 8월에는 통일역이 모란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3. 역 목록
평양 지하철도 역 천리마선 (千里馬線) 역 영어 역명[11] 환승 개통일 붉은별 Red Star 트롤리버스 1호선 1973년 9월 5일[1] 전우 Comrade / 동지 혁신선 (전승) 개선 Triumphal Return / 개선 트롤리버스 1, 8호선 모란봉 모란봉 트롤리버스 1호선 승리 Victory 트롤리버스 1, 5, 6호선 봉화 Beacon 영광 Glory
평양 노면전차 1호선1987년 4월 10일 부흥 Revival 평양 노면전차 3호선
역 이름은 혁명과 관련된 것이며, 어느 지역에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없다.[17]선적 상 노선명 역명 접속 노선 소재지 일본어 한국어 만경대선 부흥역 부흥역한국어 평천구역 영광역 영광역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평의선・평부선・평남선 (평양역) 중구역 봉화역 봉화역한국어 천리마선 승리역 승리역한국어 모란봉역 모란봉역한국어 개선역 개선역한국어 모란봉구역 전우역 전우역한국어 평양 지하철 : 혁신선 (전승역) 붉은별역 붉은별역한국어 대성구역
4. 차량기지
5. 기타
혁명을 묘사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으며, 특히 만경대선 구간의 역인 부흥역, 영광역은 다양한 석재와 샹들리에를 사용한 호화로운 내장이 특징이다. 또한 전시 방공호를 겸하고 있어서인지, 지하 약 105m에 역이 존재한다.
외국인 관광객은 과거 부흥역 - 영광역 간만 승차가 허용되었지만, 2015년 가을에 평양 지하철이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개방[13]되어, 현재는 그 너머로 가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장래에는, 혁신선 광복역 - 천리마선 부흥역 간에 신선을 건설한다는 구상이 있다.[14] 당초 계획에서는, 봉화역에서 평양 시내를 흐르는 대동강 아래를 지나 남진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지만, 1971년에 봉화역 부근에서 발생한 터널 붕괴 사고(사망자 100명 초과)의 영향으로 단념되어, 현행의 서진하여 부흥역으로 향하는 경로가 되었다고 한다.[15][16] 1971년의 봉화역 터널 붕괴 사고에 관해서는 미확인이라는 정보도 있다.[16] 덧붙여 대동강 터널 계획은 2000년에도 언급되었고, 이 때는 동평양으로의 연장이 계획되었지만, 그 후의 진전은 없다.[16] 이 외에도 1980년대에는 평성시로의 연장 계획도 존재했지만, 시굴 결과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혀 단념했다고 한다.[16]
6. 미래
참조
[2]
웹사이트
The Pyongyang Metro: Statistics
http://www.pyongyang[...]
2018-11-19
[3]
웹사이트
平壌地下鉄 千里馬線
http://2427junction.[...]
2020-07-20
[4]
웹사이트
地底200米的朝鲜 揭秘40年前的平壤地铁
https://www.sohu.com[...]
2021-10-26
[5]
웹사이트
平壌地下鉄
http://2427junction.[...]
2021-10-26
[6]
웹사이트
Метро Пхеньяна — самое загадочное метро в мире - новост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развития подземных сооружений
https://undergrounde[...]
2021-10-26
[7]
웹사이트
平壌地下鉄、電力難で不規則運行…金正恩氏自慢の「新型」活躍できず
https://dailynk.jp/a[...]
2021-03-12
[8]
웹사이트
평양 지하철 증설공사
https://mn.kbs.co.kr[...]
2021-10-26
[9]
웹사이트
地下鉄駅名が「駅」?…北朝鮮、平壌地下鉄「統一駅」から「統一」削除(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2024-02-21
[10]
웹사이트
North Korea renames subway station, purging reference to reunification {{!}} NK News
https://www.nknews.o[...]
2024-11-09
[11]
서적
Pyongyang revie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North Korea)
[12]
웹사이트
Pyongyang Metro stations undergo renovation
http://www.pyongyang[...]
2021-03-28
[13]
뉴스
北朝鮮の地下鉄に乗ってみた 写真13点
https://natgeo.nikke[...]
日経BP・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16-05-12
[14]
서적
将軍様の鉄道
[15]
서적
世界の地下鉄 151都市のメトロガイド
[16]
뉴스
平壌地下鉄、電力難で不規則運行…金正恩氏自慢の「新型」活躍できず
https://dailynk.jp/a[...]
데일리NKジャパン
2017-12-08
[17]
서적
平壌地下鉄
朝鮮新報社出版事業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